JEPI vs JEPQ 차이, 고배당 ETF 배당금 비교해보기

 


월급 이외에 한 달에 100만 원만 더 들어와도 너무 행복할 것 같지 않나요? 고배당 ETF의 대표주자로 JEPI와 JEPQ가 뜨거운 상품으로 떠올랐습니다. 든든한 패시브 인컴을 만들어줄 우리의 두 번째 월급과 같은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JEPI와 JEPQ의 차이, 구성종목, 섹터 구성, 배당금, 배당률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보시면 어떤 상품을 골라야 할 지 확신이 드실거에요.



JEPI, JEPQ ETF란?

고배당 ETF인 JEPI와 JEPI는 높은 배당률과 월배당 지급으로 주목 받는 상품입니다. 특히 은퇴 준비를 앞두고 있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1억만 투자를 해도 매월 약 60~80만 원에 달하는 패시브인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지요.


두 상품 모두 JP모건에서 출시한 상품입니다. JEPI는 출시 이후 든든한 월배당 상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끌은 상품입니다. 그리고 JEPQ는 JEPI 출시 후 엄청난 인기에 힘입어 약 2년 뒤에 출시가 된 상품입니다. 현재 자산규모는 약 2배 차이가 나고 있어요. JEPI의 시가총액이 대단한 것도 있지만 JEPQ의 시가총액도 빠르게 따라잡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JEPI는 2024년 10월 말 기준 약 13.55%의 커버드 콜 비율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반면 JEPQ는 약 16.41%의 커버드 콜에 투자합니다. 상대적으로 고배당 지급에 대해서는 JEPQ가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 JEPI에 1억 투자하면 얼마 받을 수 있을까요? ▼




▼ JEPQ에 1억 투자하면 얼마 받을 수 있을까요? ▼



JEPI vs JEPQ 배당률 비교

JEPI의 배당률은 최근 1년 기준 7.05%입니다. JEPQ의 연 평균 배당률은 9.26%로 JEPI보다 2%이상 높습니다. 대체적으로 JEPQ가 JEPI 보다 높은 배당률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최근 1년 간 미국 주식이 계속 상승세였기 때문에 배당률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것을 감안하셔야 합니다. 출시 이후 하락장을 포함한 평균 배당률을 본다면 JEPI는 약 8%의 배당률, JEPQ는 약 10%의 배당률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JEPI와 JEPQ의 평균 배당률 추이입니다. JEPI는 6.6%~12.2%에 해당되는 배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JEPQ는 8.8%~12.6%의 배당률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배당률 차이가 가장 적을 때는 0.5% 수준이고 가장 많을 때는 2.5% 수준까지 벌어졌습니다.

JEPI는 특히 금리 급상승 시기인 2023년에 많은 주가 하락으로 인해 많은 배당이 지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JEPQ는 이 시기를 겪지 않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을 기록할 기회를 놓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JEPQ의 배당률이 살짝 위로 튀는 시기가 있는데, 이때가 주식장이 많이 흔들리던 시기입니다. 특히 나스닥이 많이 하락하는 경우에 배당을 두둑하게 지급한 이력이 있습니다. 커버드 콜 상품의 특성이 보이는 부분입니다. JEPI와 JEPQ는 커버드 콜 특성상 하락장이나 횡보장에서 높은 배당률을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 커버드 콜에 대해서 쉽게 알아보세요 ▼



JEPI vs JEPQ 수익률 비교


JEPI와 JEPQ의 수익률을 비교해보겠습니다. JEPQ가 아직 출시한 지 3년이 안되었기 때문에 1년치만 비교해 보았습니다. JEPI는 약 13.89%가 올랐으며, JEPQ는 약 20.85%가 올랐습니다. 이에 대비해 SPY는 약 39.76%가 올라 수익률은 SPY가 확실히 높았습니다.

JEPI가 배당률도 적은데 수익률도 낮아서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반면에 JEPQ는 20.85% 상승하며 배당률도 약 9~10%를 지급하여 상당히 괜찮은 상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JEPI & JEPQ 같은 커버드 콜 ETF와 함께 SPYQQQ를 함께 조합한다면, 수익성과 배당을 함께 잡을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탄생할 것 같습니다. 저도 현재 이런식으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요.


JEPI vs JEPQ 구성 종목 및 섹터 구성


JEPI의 구성 종목입니다. S&P 500 종목을 담고 있지만 시가 총액 순서로 투자하지는 않습니다. JEPI의 종목 선택 방법은 주가가 안정적인 상품 위주로 담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엔비디아, 마스터카드, 메타 플랫폼즈,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비자 등이 있습니다.
JEPI는 상대적으로 구성 섹터를 골고루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술 섹터가 20.49%로 가장 많으며, 헬스케어가 14.59%로 그다음을 잇고 있습니다. 그 외 산업재, 금융, 필수소비재, 경기소비재, 유틸리티 섹터가 있습니다. 부동산 섹터도 담고 있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JEPQ의 구성 종목은 나스닥 상위 종목과 거의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구글, 브로드컴, 테슬라, 넷플릭스를 TOP10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QQQ의 커버드 콜이라고 간주하고 보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NDX는 ELN으로 커버드 콜 옵션 매도를 위한 상품입니다. 즉, ELN은 우리에게 배당을 지급하는 옵션 채권입니다.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주의 비중이 50.97%로 가장 높습니다. 그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섹터가 15.84%, 경기소비재가 13.7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산업재, 유틸리티, 원자재 등이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JEPI는 전 산업의 섹터가 골고루 포함되어 있으며, 안정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기업 위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JEPQ는 기술주의 비중이 높으며 나스닥 QQQ의 구성 종목과 거의 동일하게 포진되어 있습니다. 나스닥의 하락률이 높은 경우 JEPQ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질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JEPI vs JEPQ 투자 전략

최근의 JEPI와 JEPQ는 배당금이 꽤 줄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두 상품이 출시 이후 오래되어서 배당이 줄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커버드 콜 상품은 지금 같은 꾸준한 상승장에서 옵션 판매 수익으로 인한 배당금을 많이 주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하락장이나 횡보장에서 높은 배당을 받으며 다른 ETF와 보완으로 투자하기 아주 좋은 상품입니다.

JEPI는 약 8%의 배당, JEPQ는 약 10%의 배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스닥 기반의 JEPQ가 장기적인 수익률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기술주를 포함하고 있어 섹터의 성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JEPQ가 배당까지 약 1%~2.5% 정도 높으니 현재로서는 JEPI보다는 JEPQ를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저 또한 JEPI 매수를 멈추고 JEPQ를 모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JEPQ를 투자하신다면 주식 하락장에 높은 하락폭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변동성이 괜찮으며, 떨어질 때 과감하게 매수하실 수 있다면 JEPQ가 더 나은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JEPI와 JEPQ를 패시브인컴을 위한 우리들의 제 2의 엔진으로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저는 JEPI와 JEPQ의 정기적인 수익금으로 S&P 500 추종 SPY나스닥 100 추종 QQQ를 모두 모아가고 있습니다. 고배당 ETF를 거치식으로 장기간 보유하고, 그 수익금으로 지수 ETF를 모아가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많은 분들께 강추하는 전략입니다. 한 달에 100만 원만 패시브 인컴을 만들어도, 추가 투자금을 넣지 않아도 지수 ETF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배당성장 ETF인 SCHD와 함께 투자하는 것도 아주 훌륭한 투자입니다. 저는 은퇴를 앞두고 계신 분들께 고배당과 배당성장을 함께 모아가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매월 받는 금액도 많으면서 금액 자체도 장기적으로 늘어가기 때문입니다.

만약 수익률이 아쉬우시다면 QQQ의 2배 레버리지인 QLD를 함께 매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QLD는 레버리지 상품이지만 2배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투자해도 나쁘지 않은 상품입니다. 수익률과 고배당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보세요.


▼ S&P 500 추종 SPY ETF에 대해서 쉽게 알아보세요 ▼




▼ 나스닥 100 추종 QQQ ETF에 대해서 쉽게 알아보세요 ▼



다음 이전